Clip 1: 강의를 통해 얻어갈 수 있는 것
Clip 1: 강의를 통해 얻어갈 수 있는 것
학습 목표
- 바이브 코딩(AI Agent를 활용한 코딩)의 개념과 장점 이해하기 
- 강의를 통해 만들게 될 실제 프로젝트 결과물 파악하기 
- AI를 능숙하게 다루는 핵심 스킬 습득 방향 이해하기 
- 효율적인 강의 수강 방법 알아보기 
이 강의에서 배우는 것
1. 바이브 코딩(Vibe Coding) = AI Agent 사용법
Claude Code, Codex 같은 코딩 AI Agent를 사용하는 법을 배웁니다.
전통적인 코딩:
개발자가 직접 코드 작성 → 테스트 → 디버깅
바이브 코딩:
개발자가 의도 전달 → AI가 코드 구현 → 개발자가 검증바이브 코딩의 의의:
- AI Agent가 코드 구현을 담당 
- 개발자는 설계와 테스트에 집중 
- 여러 Agent를 동시에 사용해서 생산성을 극대화할 수 있음 
2. AI Agent 만드는 법
바이브 코딩을 통해 AI Agent를 직접 구축하는 방법을 배웁니다.
왜 바이브 코딩으로 AI Agent를 배우는가?
- AI Agent는 라이브 코딩으로 학습하는 것이 가장 효율적 
- 바이브 코딩 도구 자체가 훌륭한 AI Agent 
- Claude Code를 사용하면서 눈으로 직접 동작 방식 관찰 
- 오픈소스 코드를 살펴보며 구체적 구현 학습 
3. 이 강의의 독특한 학습 방식
재미있는 것부터 시작하는 역순 학습:
기존 강의 방식:
이론 → 기초 → 응용 → 프로젝트
이 강의 방식:
재미있고 쉽게 동작하는 프로젝트(MCP client) → RAG → MCP server(점점 더 좁게)왜 이 방식인가?
- 바이브코딩 덕분에 재미있는 것(MCP client)부터 만들 수 있습니다 
- 동작하는 결과물을 먼저 보고, 나중에 더 근본적인 것을 배웁니다 
- 동기부여를 유지하며 학습 효율을 극대화합니다 
단계별 코딩 접근법:
Part 1~3: 맨땅에 헤딩 방식
- 빠르게 구현하고 결과를 확인
- 중간 커밋 없음
- TDD 없음
- 순수하게 바이브코딩으로 빌드
Part 4~6: 체계적 개발 방식
- Codex MCP 활용
- Linear MCP 티켓 관리
- 자동 git 커밋
- TDD 적용이렇게 나눈 이유:
- 학습자마다 기본 코딩 수준 차이가 있습니다 
- 초반에는 결과물 만드는 재미에 집중 
- 후반에는 실무 수준의 개발 프로세스 학습 
- 단계적으로 복잡도를 높여 학습 부담 감소 
강의 결과물
이 강의를 완료하면 다음과 같은 Agent를 직접 구현하게 됩니다:
Part3: RAG 기반 농협 대출 상품 추천 AI Agent

주요 기능:
- 실제 농협 대출 상품 검색 
- RAG(Retrieval Augmented Generation) 기반 답변 
- Agentic하게 도구 사용 결정 
Part 5: LLM 기반 Slack Bot

기능:
- Slack 메시지 자동 응답 
- LLM 기반 대화 처리 
- 실시간 정보 제공 
Part5: 공공 API 활용 MCP Server

특징:
- 공공 데이터 API 활용 
- 직접 구현한 MCP Server 
- 내가 사용하는 모든 AI 도구에 연결 가능 - Claude 
- Claude Code 
- Cursor 
- 기타 MCP 지원 도구 
 
AI Agent 의 Context를 능숙하게 다루는 방법
Claude Code의 핵심 개념 이해
Claude Code의 구성 요소를 AI Agent 개념에 대입하여 학습:
1. Slash Commands (슬래시 커맨드)
/commit → 특정 작업 실행
/test → 테스트 실행→ AI Agent의 Tool/Function 개념
2. Sub-Agent (서브 에이전트)
작업 분담 → 병렬 처리 → 결과 통합→ AI Agent의 멀티 에이전트 시스템 개념
3. Output-Style
출력 형식 지정 → 일관된 결과→ AI Agent의 프롬프트 엔지니어링 개념
학습 효과:
- LLM이 컨텍스트를 사용하는 방식 이해 
- AI Agent 구조와 동작 원리 파악 
- 실전에서 바로 적용 가능한 패턴 습득 
이 강의 자료를 Claude Code에게 제공하고 같이 학습하세요
PDF, PPT가 아닌 markdown 으로 강의 자료를 만들었습니다.
# Markdown 형식
- LLM이 가장 잘 이해하는 문서
- 구조화된 정보 전달
- 코드와 설명 통합활용 방법:
- 강의 영상 시청 
- 모르는 내용은 Markdown 문서 확인 
- Claude Code에게 문서 기반 질문 - "이 문서를 읽고 Sub-Agent가 별도의 컨텍스트 윈도우를 가진다는 의미를 자세히 설명해줘"
장점:
- 영상보다 더 자세한 내용 포함 
- LLM과 대화하며 깊이 있는 학습 가능 
- 필요한 부분 빠르게 검색 가능 
강의 구성
이 강의는 4가지 주요 카테고리로 구성되어 있습니다:
효과적인 강의 수강:
- 각 강의마다 카테고리 명확히 구분 
- 필요한 강의부터 먼저 수강 
- 순서에 구애받지 않고 학습 
- 궁금한 부분은 Markdown 문서 참고 
강의 클립별 카테고리 분류
1-1-1
강의를 통해 얻어갈 수 있는 것
☐
☐
☐
☐
1-1-2
CLI기반 Claude Code 와 Codex로 할 수 있는 것
☑
☐
☐
☐
1-1-3
AI 에이전트 + MCP 기술이 주목받는 이유
☐
☑
☐
☐
1-1-4
Docs와 실습코드(Github)
☐
☐
☐
☐
1-2-1
설치와 기본 사용법
☑
☐
☐
☐
1-2-2
Local/Project/User 단위 mcp 연결하기
☑
☐
☐
☐
1-2-3
CLAUDE.md, AGENTS.md 세팅하기
☑
☐
☐
☐
1-3-1
Slash Command 만들기
☑
☐
☐
☐
1-3-2
Sub Agent 만들기
☑
☐
☐
☐
1-3-3
Hooks, Output Styles 설계하기
☑
☐
☐
☐
1-4-1
클로드코드로 자동화하기
☐
☑
☐
☐
1-4-2
슬래쉬 커맨드를 자동으로 업데이트하기
☐
☑
☐
☐
2-1-1
Agent vs Workflow 개념 이해하기
☐
☐
☑
☐
2-1-2
AI Agent architecture 자세히 살펴보기
☐
☐
☑
☐
2-2-1
LLM api 이해하고 호출해보기
☐
☐
☑
☐
2-2-2
세부 파라미터 (reasoning_effort, verbosity, max_token)
☐
☐
☑
☐
2-2-3
프롬프트 작성
☐
☐
☑
☐
2-3-1
Claude Code 등 에이전트가 어떻게 mcp를 활용하는지 보기
☐
☐
☑
☐
2-3-2
오픈소스 AI AGENT의 mcp 활용 코드 까보기
☐
☐
☑
☐
2-3-3
Tool 이해하기
☐
☐
☑
☐
2-3-4
MCP client 개념 이해하기
☐
☐
☑
☐
2-4-1
mcp client 를 구현하기 위한 PRD 프롬프트 만들기
☐
☐
☐
☑
2-4-2
mcp client 구현하기
☐
☐
☐
☑
3-1-1
Vector Search 이해하기
☐
☐
☑
☐
3-1-2
BM25 이해하기
☐
☐
☑
☐
3-1-3
PRD 프롬프트 만들기
☐
☐
☐
☑
3-1-4
Hybrid Search 구현하기
☐
☐
☐
☑
3-2-1
RAG 개념 이해하기
☐
☐
☑
☐
3-2-2
PRD 프롬프트 만들기
☐
☐
☐
☑
3-2-3
Langgraph RAG 구현하기
☐
☐
☐
☑
3-3-1
workflow -> Agentic의 개념 복기하기
☐
☐
☑
☐
3-3-2
Database와 Web Search를 툴로 사용하는 에이전트 구현하기
☐
☐
☐
☑
4-1-1
MCP server의 개념과 구조 이해하기
☐
☐
☑
☐
4-1-2
MCP server 코드 까보기: sequential thinking, notion, playwright
☐
☐
☑
☐
4-2-1
dummy MCP server 구현하기
☐
☐
☐
☑
4-2-2
Claude, Claude code 에 연결하기
☐
☐
☐
☑
4-3-1
Postgresql mcp server 구현체 보기
☐
☐
☑
☐
4-3-2
mock 스키마 만들고 데이터 합성해서 집어넣기
☐
☐
☐
☑
4-3-3
DB write tool 설계하기
☐
☐
☐
☑
4-3-4
클로드에 연결해서 써보기
☐
☐
☐
☑
5-1-1
슬랙 커뮤니티 CS 내역을 LLM 으로 합성하기
☐
☐
☐
☑
5-1-2
시스템 프롬프트 만들기
☐
☐
☐
☑
5-1-3
슬랙봇 구현 프롬프트 작성하기
☐
☐
☐
☑
5-1-4
슬랙봇 구현하고 AWS lambda 배포하기
☐
☐
☐
☑
5-1-5
슬랙에서 사용하면서 업데이트하기
☐
☐
☐
☑
5-2-1
data.go.kr 에서 국민연금공단 api 살펴보기
☐
☐
☐
☑
5-2-2
api -> mcp server 구현 프롬프트 작성하기
☐
☐
☐
☑
5-2-3
mcp server 구현하기
☐
☐
☐
☑
5-2-4
Claude에 연결해서 사용하면서 업데이트하기
☐
☐
☐
☑
5-3-1
awslabs/mcp 구현체 이해하기
☐
☐
☑
☐
5-3-2
mcp server 자동 생성하는 에이전틱 프로세스 만들기
☐
☐
☐
☑
5-3-3
data.go.kr 에서 api 골라서 자동 생성하기
☐
☐
☐
☑
5-3-4
smithery 스타일의 웹페이지 구현하기
☐
☐
☐
☑
6-1-1
best practice 찾아서 이해하기
☑
☐
☐
☐
6-1-2
바이브코딩 팁을 자동화시키기
☑
☐
☐
☐
6-1-3
클로드 코드 시스템 프롬프트 계층 이해하기
☑
☐
☐
☐
6-2-1
Context/Prompt Engineering 이해하기
☑
☐
☐
☐
6-2-2
AI의 PM이 되기
☑
☐
☐
☐
6-3-1
git worktree 이해
☑
☐
☐
☐
6-3-2
worktree 자동화 스크립트 생성하기
☑
☐
☐
☐
6-3-3
티켓 자동 생성하고 병렬 처리하기
☑
☐
☐
☐
6-4-1
바이브코딩의 리스크를 낮추기 위한 feature 선정 방법
☑
☐
☐
☐
6-4-2
바이브코딩으로 프로젝트를 시작하면 유리한 점
☑
☐
☐
☐
6-5-1
클로드코드를 나만의 AI 에이전트로 사용하기
☐
☑
☐
☐
6-5-2
메타 프롬프트
☐
☑
☐
☐
강사 정보
- 작성자: 정구봉 
- LinkedIn: https://www.linkedin.com/in/gb-jeong/ 
- 이메일: bong@dio.so 
강의 자료
- 강의 자료: https://goobong.gitbook.io/fastcampus 
- Github: https://github.com/Koomook/fastcampus-ai-agent-vibecoding 
- FastCampus 강의 주소: https://fastcampus.co.kr/biz_online_vibeagent 
Last updated