Chapter 2. LLM API 호출 이해하기
LLM API의 기본 개념부터 고급 파라미터 활용까지 학습합니다.
학습 목표
- LLM API의 기본 구조와 호출 방법 이해 
- reasoning_effort, verbosity, max_token 등 주요 파라미터 활용 
- 효과적인 프롬프트 작성 기법 습득 
📋 예시 코드 파일 구성
기본 API 호출 (Clip 1)
- 01_basic_openai_call.py: OpenAI API 직접 호출 기본 예시 
- 02_langchain_basic.py: LangChain을 사용한 LLM 호출 및 프롬프트 템플릿 
고급 파라미터 (Clip 2)
- 03_verbosity_demo.py: verbosity 파라미터 실험 (low/medium/high) 
- 04_max_tokens_vs_verbosity.py: max_tokens와 verbosity의 차이 비교 
- 05_reasoning_effort.py: reasoning_effort 파라미터와 사고 깊이 조절 
💡 주요 개념
verbosity (응답 상세도)
- low: 간결한 응답
- medium: 보통 수준 (기본값)
- high: 매우 자세한 응답
max_tokens (최대 토큰 수)
- 하드 제한: 지정된 토큰 수에서 강제 종료 
- 문장이 끊길 수 있음 
- 토큰 비용 절약에 효과적 
reasoning_effort (사고 깊이)
- low: 빠른 추론 (간단한 작업)
- medium: 균형잡힌 추론 (일반적 작업)
- high: 깊은 추론 (복잡한 문제)
🔧 실무 활용 팁
- verbosity + max_tokens 조합 - verbosity로 스타일 조절
- max_tokens로 비용 상한 설정
 
- 대화 히스토리 관리 - 최대 20개 메시지로 제한 
- 오래된 메시지 자동 삭제 
 
- 프롬프트 템플릿 - 반복 작업은 템플릿화 
- 유지보수와 재사용성 향상 
 
⚠️ 주의사항
- API 키는 절대 코드에 하드코딩하지 마세요 
- 환경변수나 - .env파일 사용 권장
- API 호출 비용을 고려하여 파라미터 조절 
📖 참고 자료
Last updated